전체 글 132

네트워크_Chapter02 - HTTPS

Chapter02 - HTTPS 1.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l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cure Socket Layer, HTTP over TLS, HTTP over SLS ü TLS나 SLS로 암호화: 공개키, 비밀키 기반 암호화 ü Port: 443 ü 속도: HTTP > HTTPS ü 중간 변조 불가능, 네트워크 상에서 열람 수정 불가능 2. SSL(Secure Socket Layer) 와 TLS(Transfer Layer Security) l SSL(표준화 이전 이름) = TLS(표준화 이름) l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인증으로 RSA방식과 X.509를 사용하고 암호화된 정보 암호화 소켓 채널을 통해 전송 l 절차 ..

2. 웹의 탄생과 요청/응답

리뷰 인터넷: 멀리 떨어져 있는 곳과 통신을 하기 위한 프로토콜의 한 종류를 사용하는 것 - TCP/IP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멀리 떨어져 있는 곳과 연결을 하기 위한 툴 Chapter 02 1. 웹의 탄생 n 월드 와이드 웹 u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들이 하이퍼텍스트 형식으로 표현된 다양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시스템 u 사용자가 볼 수 있는 형태로 출력 해 주는 것이 웹 u 웹의 구성: URL + HTTP + HTML n O-Auth u 특정 사이트에 가입을 하려고 하는데 가입하고 싶지 않다. u 그러면 특정 O-Auth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가진 사이트에서 사용자의 유효한 사용자임을 밝혀서 해당 사이트에서 사용자에게 권한을 주는 시스템 2. Request n HTTP u 문서 간의 ..

1. TCP/IP와 RFC

Chapter 01 인터넷 ≠ 네트워크 ≠ 웹 TCP/IP와 RFC n 프로토콜 u 컴퓨터 간에 정보를 원활하게 교환하기 위해 상호간에 정한 여러가지 통신 규칙과 방법에 대한 규약 n 프로토콜의 세 가지 요소 u 구문: 데이터의 형식이나 신호로, 부호와 방법 정의 u 의미: 정확한 정보 전송을 위한 정보 제어와 오류 제어 방법 정의 1. Three-way-handshake, Four-way-handshake등으로 연결 제어 2. TCP: 커넥션을 맺고 시작 A. HTTP - Email 3. UDP: 커넥션을 맺지 않음 A. Youtube방송 u 순서: 송신자와 수신자 간 혹은 양단(end-to-end)의 통신 시스템, 통신망 사이의 속도나 순서 정의 1. end-to-end: 여러가지 라우터를 거쳐서 이..

네트워크_Chpater01 - HTTP

Chapter 01 - 프로토콜과 HTTP 1. 계층별 프로토콜의 특징 l 2계층 프로토콜: Ethernet(CSMA/CD) - LAN에서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 - 동일한 네트워크에 있는 장비에게 데이터를 주는 것이 목적 - 데이터 단위: 프레임 - 헤더에 들어있는 Destination/Source의 MAC주소가 중요 - 0과 1의 2진수로 구성됨 l 3계층 프로토콜: IP - 멀리 떨어진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 - 네트워크와 네트워크를 연결해줌 - 모든 장비를 IP주소로 구분함 - 데이터 단위: 패킷 l 4계층 프로토콜: TCP/UDP - end to end통신: Process to Process - 통신의 가장 끝에 존재함 - 소켓을 통한 프로그래밍 가능 - 데이터 단위..

Chapter4-2

가상 메모리 관리(Paging) Page Mapping - 일정한 크기로 프로세스를 분할 - 크기를 고정 - 메인 메모리와 전체 프로세스를 동일한 크기로 분할 - Offset - (x, y) 좌표로 페이지위치를 찾는 것 n (page, offset) n 2단계 주소체계를 만들기 위함 n 메인 메모리에 올릴 때 page번호는 변할 수 있지만 offset번호는 변하지 않는다. - Page table n Page의 번호가 메인 메모리에 올리면 번호가 바뀌기 때문에 테이블에 적어 둔다. n 프로세스 당 1개 - page번호는 모든 프로세스가 동일함, 0번부터 시작 함 n 그때 그때 만들어 준다. (이유 : 프로세스당 매칭 되는 메인 메모리의 주소가 겹치면 안됨) n 페이지 테이블의 값이 메인 메모리에 올라와 있..

Chapter4-1

가상 메모리 관리 Overlay기법과 같은 개념 - 어쨌든 프로세스 전체를 메모리상에 올리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되는 개념 프로세스의 일부만 메모리에 올리는게 중요 - 프로세스를 사용할 때 전체를 가상 메모리에 올린다. - 그 중에 실행되고 있는 부분만 메인 메모리에 올린다. - 하드디스크를 사용 - 실제 메인 메모리 보다 커도 프로세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. - Round-Robin과 같은 방법 동적 바인딩 - 실행중인 프로세스가 참조하는 주소 - 주 기억장치에서 이용하는 주소는 실제주소 - 프로세스의 일부만 메인 메모리에 올리는 것 Block Mapping - 데이터 집합(데이터 묶음)을 한꺼번에 메인 메모리에 올리는 것 - 페이지(고정) – offset : ( p , d ) - ..

Lab1_1 : 개인 정보 출력

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개인정보 h1{ font-size:50px; } h2{ font-size:20px; } form ul li{ list-style:none; margin:15px 0; font-size:14px; } 201403010 김지하 이름 : 김지하 학번 : 201403010 학과 : 컴퓨터소프트웨어 이번학기 수강하는 과목 머신러닝 알고리즘 운영체제 소프트웨어공학 웹프로그래밍 Colored by Color Scriptercs